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외이슈,무역,포워딩23

인코텀즈(CIF조건 및 FOB조건)-[무역실무] 인코텀즈란 국제 매매계약에서 이용되며 무역용어의 해석을 통일하기 위해 만든 규칙입니다. 그 11개의 규칙 중 실제 가장 많이 쓰는 조건인 CIF와 FOB 조건에 대해 실무적인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인코텀즈(INCOTEMRS)란? 인코텀즈란 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의 약칭으로 국제 매매계약에서 이용되는 정형화된 무역조건을 말합니다. 국제사회는 국가별로 다른 법이 적용되며 통일화된 법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출자와 수입자 간 발생되는 분쟁의 소지를 제거하기 위해 국제 관행을 기초로 국제 상업회의소(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가 정한 국제무역규칙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수출기업은 물건을 생산하여, 다른 나라의 수입 기업에게 판매하게 되.. 2022. 7. 29.
해외직구 수입진행확인 및 관부가세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몽키입니다. 본 포스팅은 해외 직구 시 수입 통관 진행사항 확인하는 방법과 관부가세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최근에는 해외 직구를 통해 영양제, 화장품, 옷, 가전 등을 국내보다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구매하는 해외 직구족이 많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저렴한 건 아니고, 물 건너오는 물품이기 때문에 배송료 및 관부가세를 잘 따져보아야 합니다. 관부가세란? 관부가세는 관세 + 부가세를 합친 말입니다. 보통은 관세율 8% 그리고 부가세율 10%를 더한 총 18% 정도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관부가세는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종류나 규격에 따라도 정말 다양하고 그에 따른 HS CODE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집니다. 언급드린 8%의 관세는 제품의 종류나 수입하는 국가 등 다른 요소에 따라 달라질.. 2022. 6. 25.
입항적하목록 입항 적하목록 제출 1. 해상화물 입항 적하목록 제출시기: 근거리(중국, 대만, 일본, 홍콩, 러시아 극동지역)등은 입항 전 제출이며, 원거리의 경우는 입항 24시간 전 제출 진행되어야 합니다. 2. 위반 시 제재 : 적하목록 제출시기를 위반한 경우 관세법 제276조 제4항 위반으로 1,000만 원 이하 벌금(과실 200만 원 이하 벌금)으로 제재한다. 3. BL 추가 제출 : 적하목록 제출 이후 하선전까지 BL을 추가로 제출할 수 있는 경우는 하기와 같다. 1) 하역계획변경 등으로 공컨테이너의 추가 하선이 필요한 경우(다만, 세관 근무시간 이외에 하선 작업을 하는 경우는 하선 후 첫 근무일 근무시간 종료 시까지 추가 제출 가능함) 2) 선박의 고장 또는 컨테이너 고장 등으로 인해 화물 등의 추가 하선이.. 2022. 6. 10.
적하목록시스템 작성 요령 적하목록 취합 시스템(MFCS:Manifest Consolidation System) 선사, 포워더가 세관에 적하목록을 작성, 제출할 때 사용하는 적하목록 취합 및 제출 시스템입니다. 적하목록 작성 책임자로서 선사 및 화물운송주선업자는 적하목록 취합 시스템에 접속하여 BL 등 관련 정보로 적하목록을 작성(전송)하고 적하목록 제출 의무자로서 운항선사는 최종적으로 취합된 적하목록을 세관에 전송합니다. 입항 적하목록은 1차 마감이 최종 마감이며 1차 마감 시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수정하여 재전송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 즉시 최종 마감합니다. 입항 적하목록 작성 요령 가. 작성대상 - 수입화물, 환적화물, 일시 양륙 화물 나. 주요 항목 ① 화물 구분 및 화물 속성은 하기와 같이 구분합니다. ② BL 타입 : .. 2022. 6. 9.
반응형